본문 바로가기

전기정비

축전지 설치

1. 포장 해체

 가. 외관의 손상을 확인

 나. 축전지 설치장소 가까운 곳에서 포장 해체

 다. 포장해체시 과도한 충격 금지

 라. 축전지 이동시 전조 밑부분 들고 이동

2. 수량확인 및 외관 점검

 - 축전지 수량, 랙 및 부속품 수향을 확인하고 외관 육안점검 후 손상유무 확인 합니다.

3. 설치 및 셀정렬

 가. 셀이 설치된 정해진 장소에 랙을 수평으로 설치

 나. 셀이 직렬로 설치될 수 있도록 극성을 주위하여 정렬

 다. 셀 사이를 5mm 정도의 공간을 두고 그 공간에는 고무판을 삽입

4. 셀 연결

 가. 셀 단자의 접촉 표면 깨끗이

 나. 셀과 셀 사이를 연결대 또는 케이블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연결

 다. 모든 셀은 직렬 및 병렬 접속

 라. 접속 완료 후 녹 방지 그리스를 볼트, 너트 및 연결대에 얇게 도포

 마. 볼트를 다음의 토크값으로 조임(느슨하게 조임한 경우 발열 및 스파크 발생, 수소 가스폭발의 원인 발생)

축전지 유형

볼트 직경

조임 토크(kg·cm)

PS, HS, PS-C

M8

100~150

M10

150~200

M12

200~250

 

5. 저장기한

 가. 축전지 재충전 기한

축전지 유형

재충전 주기

PS, HS

분기마다 1회

PS-C

반년마다 1회

 나. 재충전 기한이 지나 계속 저장될 경우 극판에 설페이션이 나타나게 되며 축전지 성능과 수명에 치명타

 다. 재충전 기한이 지난 축전지는 회복충전을 시행해야 하며, 회복충전 시기는 방전시험 및 장비점검이 끝난 후 수행

6. 전해액 주입

 가. 전해액 주입전에 확인 사항

  (1) 전해액 액면 수위 확인

  (2) 극성에 맞게 결선이 되어있는지 확인

  (3) 축전지와 충전기를 분리

 나. 황산용액인 전해액은 눈, 입 및 피부에 접촉시 위험하므로 고무장갑과 같은 보호장구를 이용하여 취급해야 합니다.

 다. 전해액 취급시 접촉을 할 경우 깨끗한 물로 씻어내야 하며 눈에 들어갈 경우 즉시 의사의 처방을 받아야 합니다.

 라. 배기구를 제거

 마. 깔때기와 물주전자를 이용하여 전해액 수위가 상한선까지 되도록 보충

 바. 셀에 전해액을 채울때는 한번에 보충

 사. 전해액을 채우고 1시간후에 전해액 눈금이 상한선 이하에 있을때 다시 상한 눈금까지 보충

7. 황산희석 방법 및 주의사항

 가. 진한 황산을 묽은 황산으로 희석할 때 내산 및 내열성 용기를 사용해야 하며 정제수(증류수)에 진한 황산을 소량씩 넣어 희석

 나. 과방전으로 인한 전해액 비중 저하시 축전지는 추운지방에서 전해액이 결빙되므로 주의

 다. 축전지가 얼었을 경우 전조변형, 극판만곡 및 활물질 탈락으로 전지 회복 불능

 라. 10ℓ 묽은 황산을 만드는데 필요한 황산 = 1.840/25℃

'전기정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축전지 특성  (0) 2020.02.02
축전지 운전  (0) 2019.12.19
축전지 충전  (0) 2019.12.16
UPS 구성 및 기능  (0) 2019.12.14
UPS 개요  (0) 2019.12.14